KAIST와 슬롯게임 홀덤사이트 – 인디고게임 킹사우드대(King Saud University)가 인공지능(AI) 및 디지털 플랫폼 구축을 위한 전략적 협력을 추진한다.
4일 KAIST는 전날 서울 도곡캠퍼스에서 슬롯게임 홀덤사이트 – 인디고게임 킹사우드대 총장단과의 국제 공동연구 협력 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글로벌 AI 생태계는 사용자와 개발자의 활용이 제한된 미국 클로즈드(폐쇄형) 모델(OpenAI, Google 등)과 중국의 자국 중심 기술 체계로 양분되는 추세다.
이러한 미·중 양강 구도에서 한국 등 여러 국가는 기술적 다양성과 접근성을 보장할 수 있는 ‘제3의 협력 모델 구축’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해 왔다.
이와 관련해 이광형 KAIST 총장은 오픈소스 기반의 국제 협력체 구상을 바탕으로 기존의 양극적 디지털 질서를 넘어 상호협력·공존하는 새로운 질서로 ‘삼분지계(三分之計)’ 전략을 제안했다.
KAIST와 킹사우드대 간의 협력은 삼분지계 전략의 일환으로 새로운 AI 모델을 창출하는 데 양측이 중지를 모으기 위한 시도로 해석된다. 이러한 흐름은 국제적 논의와도 맞닿아 있다.
특히 오픈 AI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협력 체제로 중동과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혁신적인 다자간 협력 기반을 마련한다는 전략이 밑바탕에 깔렸다.
전략적 협력을 통해 양측은 각기 다른 강점을 상호 보완하는 협력 구도를 기대한다. 사우디아라비아는 대규모 자본력과 디지털 인프라를 기반으로 전략적 투자가 가능한 국가며, 한국은 AI 원천기술과 응용 역량 그리고 우수한 인재 생태계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상호 보완적 관계 형성이 가능하다는 맥락이다.
양측은 이러한 역량을 결합해 ‘투자-기술-인재’가 선순환하는 지속가능한 협력 모델을 구현하는 데 힘을 모을 방침이다. 이를 통해 기존의 AI 기술 패권 구조와는 차별화된 개방형 플랫폼을 구축하고, 글로벌 AI 생태계의 다양성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양측은 기대한다.
전날 회의에서 양측은 향후 협력의 구체적 방향에 대해서도 의견을 모았다. 주요 협력 사항으로는 ▲오픈소스 기반의 AI 기술 및 디지털 플랫폼 공동 개발 ▲KAIST-킹사우드대 공동 학위 과정 개설 및 운영 ▲두 학교 간 학생·교수·연구 인력 교류 프로그램의 확대 ▲기초과학 및 STEM(과학·기술·공학·수학) 분야의 공동연구 활성화 등이 논의 테이블에 올랐다.
특히 AI 분야에서는 공동연구소를 설립해 오픈 AI 모델 개발과 실제 산업 적용을 위한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로 했다. 공동연구소 설립은 기술의 접근성 확대를 통해 더 많은 국가와 기관이 AI 혁신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사우디의 투자 역량과 KAIST의 기술 혁신력 그리고 양국의 우수 인재 자원을 결합하면 글로벌 AI 생태계에 다양성을 이식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며 “특히 두 학교가 AI 공동연구로 독자적인 AI 모델을 개발한다면 미국-중국 중심의 디지털 질서에 새로운 영역을 창출하는 ‘삼분지계(三分之計)’ 구도가 실현돼 중동·북아프리카(MENA)와 아세안(ASEAN) 지역을 넘어 세계 시장으로 뻗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비전을 제시했다.
한편 KAIST는 이번 논의 내용을 바탕으로 킹사우드대와 업무협약 체결도 추진한다. 이후 구체적 협력 방안을 마련해 공동연구소 설립과 글로벌 인재 양성 프로그램 추진을 가시화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협력은 외교부 산하 한국국제교류재단(KF)의 ‘해외 유력 인사 초청사업’을 계기로 시작됐다.